본문 바로가기
주식/기업 전망

코스피 지수 2023년 하반기 전망(1편)

by 80퍼센트 2023. 7. 4.
반응형

코스피 지수 차트 분석

2023년 하반기 코스피 지수는 상반기 상승흐름을 이어 2,800 포인트를 돌파할 것인지 아니면, '상고하저' 흐름의 하락추세로 전환할지 기로에 서있는 모습입니다. 다양한 보조지표를 기반으로 코스피 지수를 전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단의 차트 분석은 보조지표의 수치를 하나하나 확인해 가면서 읽어야 근거에 대해 이해하기 좋습니다. 환경적 여유가 된다면 모바일보다는 모니터 화면을 통해 차트분석 글의 흐름을 함께 호흡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다 객관적인 분석과 차트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해 작성했습니다.

 

2023년 상반기 마감

코스피지수-전망
코스피지수-전망

지난 코스피 지수 전망 관련 포스팅(하단 링크 참고)을 많은 방문자 분들께서 관심 있게 지켜봐 주셨습니다. 보조지표를 활용, 근거를 기반으로 전망했던 대로 조정 후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당시 조정을 예상했던 저의 주장과 달리 대부분의 전문가분들은 6월 12일 장 중 코스피지수가 2,650 포인트를 돌파 이후 쉬지 않고 2,700 포인트까지 간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분들의 예상과 다르게 14 거래일 연속으로 지수 조정을 받고 약 -4%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https://stock0901.tistory.com/14

 

코스피 지수 전망 인버스 전략 곱버스

2023년 하반기 코스피 지수 전망 2022년 러우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인플레이션과 미중무역갈등 심화, 미국 연준의 유동성 축소 등으로 인해 국내주식 시장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주가지수는 큰

stock0901.tistory.com

 

6월 29일 장 마감 후 많은 분들이 조정이 맞는지? 대세 하락으로 가는 것은 아닌지? 주식 커뮤니티에서 불안한 마음을 글로 작성하고 계셨습니다. 그래서 이 날 짧게나마 지수 시황과 종목들에 대한 코멘트를 포스팅하게 되었는데요. 포스트 내용은 6월 조정에 대한 걱정보다는 눌림 분할 매수로 대응하자라는 주제였습니다. 파동 기반으로 분석한 데로 6월 30일 장 시작하며 15분 동안 2,540 포인트를 깨는 흐름으로 가는 것처럼 보이다 반등이 나왔습니다. 처음 포스트 했던 1차 예상 수치인 2,540 포인트까지 하락 이후 반등이 시작된 것입니다.

 

위꼬리 아래꼬리를 단 몸통 도지캔들로 2023년 상반기 마지막 날 코스피 지수는 마감되었습니다. 그리고 하반기 첫 날인 2023년 7월 3일 갭으로 상승 출발한 코스피는 단 한 번의 조정 없이 1.49%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코스피 지수는 2,700을 향해 상승하는 걸까요? 다시 한번 2,500을 깨는 흐름을 보이며 하락하는 걸까요? 다양한 보조지표들을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코스피 지수 엘리엇 파동 분석

코스피지수-엘리엇파동
코스피지수-엘리엇파동

코스피 지수는 엘리엇 파동 기준 2022년 9월 30일 저점 2,134.77 포인트를 바닥으로 2022년 12월 1일 고점 2,501.43 포인트까지 상승 1 파동입니다. 이후 상승 1 파동에 대한 되돌림 조정 2 파동이 진행되는데, 조정 2 파동은 2023년 1월 3일 저점 2,180.67 포인트까지 하락합니다. 

 

그리고 다시 상승 3 파동이 시작되고 2023년 6월 12일 고점 2,650.45 포인트까지 상승합니다. 이번에도 역시 상승 3 파동에 대한 조정 4 파동이 진행되겠죠? 그리고 조정 4 파동이 마무리되면 상승 5 파동이 시작됩니다. 마찬가지로 5 파동의 고점이 나오며 전체 상승 1-2-3-4-5 파동이 종료됩니다. 따라서 현재 2023년 7월 3일 종가 기준 코스피 지수는 두 가지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1. 상승 3 파동에 대한 조정 4 파동이 마무리되고 상승 5 파동을 향해 가고 있다. 
2. 상승 3 파동에 대한 조정 4 파동이 현재 진행 중이며 조정 ABC 파동 진행 중이다.

 

코스피지수-상승1파동-피보나치되돌림
코스피지수-상승1파동-피보나치되돌림

그렇다면 엘리엇 파동의 상승 4 파동이 종료되었는지, 만약 진행 중이라면 어디까지인지 피보나치 되돌림을 사용해 자세히 확인해 보겠습니다. 2022년 9월 30일 저점 2,134.77 포인트에서 상승 1 파동의 고점 2022년 12월 1일 2,501.43 포인트까지의 피보나치 되돌림을 적용하면 0.786라인(2,134.77)에서 지지를 받으며 하락 조정을 멈추고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이미지 빨간 박스 참조)

 

2022년 9월 저점에서부터 시작된 1 파동은 새로운 추세의 시작으로 약 두 달간 완만한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이후 1 파동의 상승에 대한 조정 2 파동이 진행되었고, 한 달의 가파른 하락과 함께 깊은 조정폭이 진행되었습니다. 엘리엇 파동의 조정 파동은 1 파동의 약 38.2% 또는 50% 까지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이번 조정 2 파동은 약 78.6%를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조정 기간도 짧았습니다. 이처럼 1 파동의 매수세가 조정 2 파동을 거치며 급격한 매도세를 보여줬다는 것은 결국 시장 참여자들이 많은 손실을 보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손실을 복구하기 위해 다음 3 파동에서는 더욱 강한 매수세를 보여줄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상승 3 파동의 기간이 더 길고 더 높은 상승폭을 보여줄 것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상승 3 파동의 모습은 어떠했는지 아래 사진을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코스피지수-상승3파동
코스피지수-상승3파동

코스피 지수 조정 2 파동이 마무리된 후 시작된 상승 흐름은 2023년 6월 12일 고점 2,650.45 포인트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이전 2022년 8월 16일 고점 2,546.35 포인트(빨간 원 지점)를 넘으며 약 11개월 만에 코스피 지수 2,650 포인트를 돌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예상했던 대로 상승 3 파동은 더 긴 시간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고, 더 높은 상승폭을 보여주었습니다. 108 거래일 동안 469.78포인트 상승하였고, 이는 조정 2 파동 저점에서부터 21.54%의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3 파동 상승에 대한 조정 4 파동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 급격한 상승에 대한 매물도 소화해야 하고, 더 높이 상승하기 위해 힘을 비축하는 모습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전 하락추세의 저항구간도 앞두고 있어 바로 상승하기보다는 자연스러운 조정 구간으로 보입니다. 이제 직전 고점은 2022년 1월 중반부터 6월 초반까지의 매물대 구간(빨간 네모 박스 참조)으로 이 저항 라인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강한 상승의 힘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4파동 예상(피보나치 되돌림 분석)

코스피지수-상승3파동-피보나치되돌림
코스피지수-상승3파동-피보나치되돌림

2023년 1월 3일 저점 2,180.67부터 2023년 6월 12일 상승 3 파동의 고점 2,650.45까지 피보나치 되돌림을 적용해 보겠습니다. 0.236라인(2,539.58)을 지난 2023년 6월 30일 저점 2541.72포인트가 지지받고 현재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오렌지 색상의 원 참고) 지금의 위치만으로 조정 4 파동이 종료되고 상승 5 파동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파동이 종료되었다는 것은 다음 파동이 진행되어야 알 수 있어 조정 4 파동이 마무리된 것을 확인하려면 상승 5 파동이 상승 3 파동의 고점보다 높은 상승을 하면 조정 4 파동의 종료를 신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조정 4 파동은 조정 2 파동과 비교해서도 예상해 볼 수도 있는데요. 조정 2 파동의 조정폭이 깊었다면 조정 4 파동의 조정폭은 그 보다 짧습니다. 그리고 조정 2 파동의 기간이 짧았다면 조정 4 파동은 그보다는 긴 기간 조정을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조정 4 파동의 저점은 상승 1 파동의 고점보다 낮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조정 4 파동은 최대 하락 가능한 포인트로 상승 1 파동의 고점인 2,501.43보다는 높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상단 이미지를 참고하면 2,501.44 포인트까지만 하락해야 엘리엇 파동 기준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 내의 조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2,501.43을 깨고 이탈한다면 이 부분이 다시 저항으로 다가오는지 아니면 돌파 후 안착하는지 여부에 따라 파동카운팅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코스피-인덱스
코스피-인덱스

여전한 상승 근거 무엇일까?

지금까지 코스피 지수의 현재 위치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엘리엇 파동을 기반으로 피보나치 되돌림을 적용해 상승 1-2-3 파동이 종료되고 조정 4 파동이 진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습니다. 다만 지금의 위치가 조정 4 파동이 종료되었는지 여전히 4 파동이 진행 중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어서 다음 포스트에서도 코스피 지수 하반기 전망에 대해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이전 포스트에서 제가 주장했던 '코스피 지수는 상승할 것이다.'라는 근거는 여전히 유효한 지 더욱 다양한 지표를 통해 근거와 함께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